라벨이 노비제도인 게시물 표시

'말하는 가축'은 오해? 우리가 몰랐던 조선시대 노비의 진짜 삶

이미지
  조선시대 노비, 정말 '말하는 가축'이었을까요? 사고 팔 수 있는 재산이었지만, 가정을 이루고 심지어 재산을 모으기도 했던 노비. 우리가 드라마나 영화에서 본 것과는 다른, 노비의 진짜 삶과 그 이면에 대해 깊이 파헤쳐 봅니다. 📋 목차 재산인가, 사람인가? 노비의 이중적 지위 🤔 모두가 같지 않았다: 솔거노비와 외거노비 🏠 부를 축적한 노비도 있었다? 💰 노비 신분에서 벗어날 길은 있었나? 🚀 우리가 흔히 '노비'하면 떠올리는 이미지는 무엇일까요? 아마도 주인의 발길질에 힘없이 쓰러지고, 굶주림에 지쳐 멍한 눈으로 허공을 바라보는 모습일 겁니다. '말하는 가축'이라는 표현처럼, 인간적인 대우는커녕 하나의 물건처럼 취급받았던 존재로 기억되죠. 하지만 과연 모든 노비의 삶이 정말 그랬을까요? 오늘은 조선 사회의 가장 낮은 곳에 있었지만, 우리가 몰랐던 다양한 삶의 모습을 가졌던 노비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   재산인가, 사람인가? 노비의 이중적 지위 🤔 조선시대 법적으로 노비는 '재산'으로 규정되었습니다. 논밭이나 집처럼 사고 팔 수 있었고, 자녀에게 상속하거나 빚 대신 넘겨주기도 했죠. 실제로 당시 재산 관련 문서에는 소나 말과 함께 노비의 이름이 적혀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점만 본다면 '가축'과 다를 바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노비는 '사람'으로 인정받는 이중적인 존재였습니다. 그들은 혼인을 하여 가정을 꾸릴 수 있었고, 자신의 이름을 가졌습니다. 또한, 국가의 법에 따라 보호받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주인이 노비를 함부로 죽이면 살인죄로 처벌받았죠. 물론 그 처벌 수위는 양인을 죽였을 때보다 훨씬 가벼웠지만, 최소한의 인간으로서의 권리는 인정되었던 셈입니다. 이처럼 '재산'과 '사람'이라는 모순된 지위 는 노비의 삶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