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준의 동의보감, 세계 최초 유네스코 등재 의학서가 된 이유

 

세계 최초로 유네스코에 등재된 의학서, 동의보감을 아시나요? 조선 최고의 의학자 허준이 집필한 동의보감이 단순한 옛날 의학 책이 아니라, 오늘날까지 세계가 인정하는 위대한 기록유산인 이유를 알기 쉽게 파헤쳐 드립니다.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 '허준'이라는 이름은 우리에게 참 익숙하죠? 하지만 그가 남긴 위대한 업적, 『동의보감』에 대해서는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혹시 그냥 오래된 한의학 책 정도로만 생각하셨다면, 오늘 제 이야기에 깜짝 놀라실지도 모릅니다. 동의보감은 2009년, 전 세계 의학 서적 중 최초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우리 민족의 자랑스러운 보물이랍니다. ✨

 


동의보감, 세계의 보물이 되다 🏛️

2009년 7월 31일, 바베이도스에서 열린 제9차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서 대한민국의 『동의보감』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이는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에 이어 우리나라의 7번째 세계기록유산이 된 쾌거였죠.

특히 주목할 점은, 동의보감이 전 세계 수많은 의학 서적 중 최초로 등재되었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동의보감이 단순히 한 나라의 의학 지식을 담은 책을 넘어, 인류가 함께 보존하고 기억해야 할 중요한 가치를 지녔음을 세계적으로 공인받았다는 의미입니다.

💡 알아두세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은 전 세계의 귀중한 기록물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해 유네스코가 선정하는 유산입니다. 인류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독창적이고 대체 불가능한 기록물만이 이 목록에 오를 수 있습니다.

 

동의보감은 어떤 책일까요? 📖

『동의보감』은 조선 제14대 왕 선조의 명으로 편찬이 시작되어, 허준 선생이 14년의 연구 끝에 1610년 완성한 총 25권 25책의 방대한 의학 백과사전입니다. 당시 동아시아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을 뿐만 아니라, 허준 선생의 독창적인 의학 철학이 고스란히 담겨있습니다.

구성 주요 내용
내경편(內景篇) 몸의 내적인 정수, 기운, 정신 등 인체의 본질과 내과 질환을 다룸
외형편(外形篇) 눈, 코, 입, 뼈, 피부 등 몸의 외적인 부분과 외과 질환을 다룸
잡병편(雜病篇) 내과, 외과에 속하지 않는 다양한 질병과 응급 처치법 등을 수록
탕액편(湯液篇) 약재 채취법, 가공법, 약을 쓰는 방법 등 약물에 대한 지식을 정리
침구편(鍼灸篇) 침과 뜸을 놓는 방법과 혈자리에 대한 이론을 설명
⚠️ 동의보감의 핵심 철학!
동의보감은 병의 치료보다 '양생(養生)', 즉 병이 생기기 전에 몸을 건강하게 관리하는 예방 의학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사람을 고치기 전에 사람을 이해해야 한다'는 허준 선생의 인간 중심적 사상을 보여줍니다.

 

세계가 동의보감의 가치를 인정한 이유 🌟

유네스코는 동의보감이 가진 여러 독창적인 가치를 높이 평가했습니다.

  1. 독창적이고 체계적인 편집: 17세기까지의 동아시아 의학 지식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재편집하여, 후대 의학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2. 백성을 위한 실용성: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약재와 치료법을 소개해 의료 대중화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3. 동아시아에서의 막대한 영향력: 출간 이후 중국과 일본에서도 여러 차례 간행되며 동아시아 의학의 교과서 역할을 했습니다.
  4. 시대를 초월하는 인본주의: 질병 자체보다 질병의 근원이 되는 사람의 몸과 마음에 집중한 철학은 오늘날에도 중요한 가치를 지닙니다.
💡

동의보감 핵심 가치 요약

✨ 세계 최초: 의학서 중 최초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 의학 백과사전: 17세기 동아시아 의학을 집대성한 체계적이고 방대한 기록물입니다.
❤️ 인간 중심 철학: 질병 치료보다 예방을 중시하는 '양생' 사상을 담고 있습니다.
🌏 세계적 영향력: 출간 이후 동아시아 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인류의 소중한 자산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Q: '동의보감'이라는 이름은 무슨 뜻인가요?
A: '동쪽 나라(조선)의 의학을 보배롭게 담은 거울'이라는 뜻입니다. 중국 의학과는 차별화된 우리 의학의 독자성과 우수성을 나타내는 이름입니다.
Q: 허준은 정말 유배지에서 동의보감을 완성했나요?
A: 네, 맞습니다. 허준은 선조가 승하한 책임을 물어 유배를 가게 되었지만, 그곳에서도 굴하지 않고 연구를 계속하여 마침내 동의보감 집필을 완성했습니다.
Q: 동의보감 원본은 어디서 볼 수 있나요?
A: 동의보감 초간본은 국립중앙도서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에 소장되어 있으며, 국보 제319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동의보감』은 단순한 옛날 책이 아니라, 시대를 초월하여 인간의 건강한 삶에 대한 깊은 통찰을 주는 살아있는 지혜의 보고입니다. 우리의 위대한 문화유산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댓글